Epilepsy Curr. 2014 Sep-Oct; 14(5): 250–252.
doi: 10.5698/1535-7597-14.5.250
PMCID: PMC4189631
Cannabidiol: Promise and Pitfalls
Timothy E. Welty, PharmD*,1 Adrienne Luebke, PharmD2
Barry E. Gidal, PharmD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and License information ►
This article has been cited by other articles in PMC.
초론 Abstract
기본적 약리 메커니즘 Basic Pharmacological Mechanisms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의
약리 효과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인
cannabinoid type I (CB1)과 cannabinoid type II
(CB2)를
통해
매개되는데,
이들
수용체는
해마
및
중추신경계의
다른
부위에서
높게
발현됩니다.
CB1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뇌전증 및
발작
활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압
조절된
칼슘
및
칼륨
채널에서의
시냅스
전달을
억제합니다(3).
CB2 수용체는
주로
면역계에서
발현되며
중추신경계에서의
발현은
제한적입니다.
CBD의
효과는
CB2 수용체와
독립적입니다(3).
Cannabidiol pharmacological effects are mediated through G protein coupled
receptors, cannabinoid type I (CB1) and cannabinoid type II (CB2),
which are highly expressed in the hippocampus and other part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2). When activated, CB1 receptors
inhibit synaptic transmission through action on voltage-gated calcium and
potassium channels, which are known to modulate epileptiform and seizure
activity (3). CB2 receptors are
primarily expressed in the immune system and have limited express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effects of CBD are CB2 receptor
independent (3).
CBD가
CB1 수용체에
대한
낮은
친화성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저농도에서도
CBD는
G-단백질
활동을
감소시킵니다(3).
CB1 수용체는
발작
임계치
조절에
관련된
많은
글루타메터직(glutamatergic)
시냅스에서
발현됩니다.
CBD는
CB1 수용체에서
글루타메이트
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작용할
수
있습니다(4).
연구에
따르면 뇌전증발생(epileptogenesis)
동안
그리고
재발성
발작
뒤에
CB1 수용체
발현에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5).
CB1 수용체
발현은
가바너직(GABAergic)
시냅스에서
상향
조절되고, 뇌전증의
글루타매터직
(glutamatergic) 시냅스에서 하향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발작
임계치를
낮추는데
기여합니다.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BD has a low affinity for the CB1 receptors,
but even at low concentrations, CBD decreases G-protein activity (3). CB1 receptors are
expressed on many glutamatergic synapses that have been implicated in seizure
threshold modulation. CBD may act at CB1 receptors to inhibit
glutamate release (4). Studies have shown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CB1 receptors during epileptogenesis and after
recurrent seizures (5). CB1 receptor expression is
upregulated at GABAergic synapses and shown to be downregulated at
glutamatergic synapses in epilepsy, contributing to lowering seizure
thresholds.
CBD의
다른
목표로는
세포내
칼슘조절과
관련된
트랜지언트
수용체
잠재(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채널이 있습니다(1,6).
칸나비노이드는
고
수준의
지질(lipophilic)
이어서,
세포내
작용
부위에
접근할
수
있고,
해마
뉴런을
비롯한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칼슘을
증가
시킵니다.
칼슘
항상성
유지에
대한
CBD 작용은
CBD의
신경보호
특성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Other targets for CBD includ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channels that
are involved with the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1, 6). Cannabinoids are highly lipophilic,
allowing access to intracellular sites of action, resulting in increases in
calcium in a variety of cell types including hippocampal neurons. CBD actions
on calcium homeostasis may provide a basis for CBD neuroprotective properties.
동물 모델에서의 증거 Evidence in Animal Models
단독
투여
시,
CBD는
MES (maximal electrical shock), 마그네슘-프리,
4-아미노피리딘
및
청각
유발
모델에서,
효과적인
항경련제(anticonvulsant)
입니다(7,
8).
AED와
함께
투여하면
다양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CBD의
항경련제
효과는
phenytoin이나 phenobarbital으로
증가하지만,
chlordiazepoxide, clonazepam, trimethadione 및
ethosuximide로 감소합니다.
급성
pilocarpine 모델을 이용한 최근
연구에서,
CBD 투여가
발작
활동을
보이는
동물의
수를
감소
시켰지만,
CBD는
동물
당
발작
횟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hen administered alone, CBD is an effective anticonvulsant in maximal
electrical shock (MES), magnesium-free, 4-aminopyridine, and audiogenic models
(7, 8). Co-administration with AEDs leads to
various effects; anticonvulsant effects of CBD are enhanced with phenytoin or
phenobarbital but decreased with chlordiazepoxide, clonazepam, trimethadione,
and ethosuximide. In a recent study using an acute pilocarpine model, although CBD
administration reduced the number of animals displaying seizure activity, CBD
did not appear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seizures per
animal (7).
뇌전증에서의 임상 증거 Clinical Evidence in Epilepsy
동물실험
데이터가
잠재적
효능을
명확히
시사하는
반면,
믿받침하는
임상
데이터는
드뭅니다.
Brust와
동료
연구자들은,
308건의
신규
발작에
대한
사례-제어
연구에서,
사례
제어와
비교하여
자발적
경련을
한 사람들 중에서,
마리화나
사용이
현저히
적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
차이는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저자들은
마리화나
사용에
의한
발작에
대한
잠재적
방어
효과를
제시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추측으로
생각되어야
합니다.
While animal experimental data clearly suggest a potential benefit, supportive
clinical data are quite sparse. In a case-control study of 308 cases of new
onset seizures, Brust and colleagues found that marijuana use was significantly
less prevalent among men who had unprovoked seizures compared to case controls
(9).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women. The authors suggest a potential protective effect against seizures with
marijuana use; however, this should be considered speculative.
3차 뇌전증센터에서
관찰된
환자를
조사한
결과,
21%의
환자가
지난해
마리화나
사용에
동의
했으며,
24%의
환자가
마리화나를
발작에
효과적이라고
믿고
있었습니다(10).
재미있는
일이지만,
이 사례 관찰은
잠재적
새로운
치료
양식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증거
수준까지
올라가지
않습니다.
A survey of patients seen in a tertiary epilepsy center found that 21% of
patients admitted to using marijuana in the last year, and 24% of patients
believed marijuana to be effective for their seizures (10). While interesting, this anecdotal observation
does not rise to the level of evidence needed to evaluate a potential new
therapeutic modality.
Gloss와
Vickrey는 뇌전증 치료에서
CBD 사용에
대한
Cochrane 체계적 검토를 실시했습니다(11).
그들의
방법론은
무작위로
통제된
그리고
사례시리즈,
사례보고서
및
전문가
의견이
제외된
시험만을
포함했습니다.
그들은
문헌에서
보고된
4개의
무작위
통제
연구만을
밝혀낼
수
있었고,
편집자에
대한
편지와
요약을
포함시켰습니다.
이
연구에
등록한
총
피험자
수는
48명이었습니다(11-14).
실제
분석에는
4편의
연구보고서와
편집자에게
보낸
편지만
포함되었지만,
저자는
포함
여부를
검토한
모든
논문의
전체
목록을
포함
시켰습니다.
Gloss and Vickrey conducted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of the use of CBD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11).
Their methodology included only those trials that were randomized and
controlled and excluded case series, case reports, and expert opinion. They
were able to identify only 4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and they included a letter to the editor and an abstract.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enrolled in these studies was 48 (11–14). While only four studies and a letter to
the editor were in the actual analysis, the authors included a complete
reference listing of all articles reviewed for inclusion.
이들
보고서에는
기준
발작빈도의
불완전한
기준
계량화,
결과
결정을
위한
불확실한
시간,
경우에
따라
부적절한
(또는
누락된)
통계분석
등
많은
설계상
결함이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결과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해석할
수
있는
충분한
세부사항이
부족했습니다.
한계와
별도로,
몇
가지
연구는
외과적
CBD의
투여가
발작빈도의
의미
있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11-13).
These reports suffered from a number of design flaws, including incomplete
baseline quantification of baseline seizure frequency, indeterminate time
periods for outcome determination and, in some cases, inadequate (or missing)
statistical analysis—in general, a lack of sufficient detail to adequately
evaluate and interpret the findings. Limitations aside, several studies did
report that administration of adjunctive CBD did not result in meaningful
changes in seizure frequency (11–13).
Cunha 등은 정상 지원자와
난치성
2단계
일반 뇌전증 환자에
대한
CBD 대 위약의
2단계 시험연구를
보고했습니다(14).
1단계에서는
8명의
정상 자원봉사자가
CBD 또는
위약을
2배-블라인드
방식으로
30일
동안
3 mg/kg의 용량으로 투여
받았습니다.
2단계에서는 뇌전증환자
15명에게
CBD 또는 위약을
하루에
200 ~ 300mg 씩 135일
동안
2배-블라인드
투여했습니다.
환자들은
AED 기준치를
계속
유지했습니다.
모든
대상자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CBD를
잘
견뎌냈습니다.
CBD를
받은 뇌전증 환자
중
4명은
연구기간
동안
"경련이 거의 없었습니다."
CBD를
받은
3명의
다른
환자는
경련이 부분적으로 감소하였고,
1명은
아무런
반응이
없었습니다.
위약을
투여
받은
7명
중
6명은
발작빈도가
변하지
않았고,
1명은
발작
조절이
명백하게
개선되었습니다.
Cunha et al. reported a 2-phase pilot study of CBD versus placebo in normal
volunteers and patients with refractory secondarily generalized epilepsy (14). In the first phase, 8 normal volunteers
received CBD or placebo in a doubled-blind fashion, at a dose of 3 mg/kg for 30
days. The second phase was also double-blinded in 15 patients with epilepsy
receiving 200 to 300 mg daily of CBD or placebo for 135 days. Patients
continued baseline AED. All subjects tolerated CBD well, with no serious
adverse events. Four of the epilepsy patients receiving CBD were “almost free
of convulsive crisis” for the duration of the study. Three other patients
receiving CBD had a partial reduction in seizures, and 1 subject had no
response. Of the 7 patients receiving placebo, seizure frequency was unchanged
in 6, and 1 had clear improvement in seizure control.
Gloss와
Vickery는 엄격한 검토방법을
사용하여,
사용가능한
보고서의
품질이
낮음에
따라
간질
치료에
있어
CBD의
효능
및
장기
안전성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습니다(11).
이용
가능한
자료로부터,
짧은
기간
동안
이
작은
그룹의
환자들에서
200-300mg의 일일 투여량이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14).
Using rigorous review methodology, Gloss and Vickery conclude that based on the
low quality of the reports available, there is insufficient data available to
draw any conclusions regarding the efficacy and or long-term safety of CBD in
treating epilepsy (11). From the data available, it does appear
that daily doses of 200 to 300 mg were safe in this small group of patients for
a short period of time (14).
'뇌전증 소아뇌전증 발작 경련 CBD오일 칸나비노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전증 치료 - 칸나비노이드 CBD 오일 Epilepsy-Cure and CBD Hemp Oil (1) (0) | 2018.03.07 |
---|---|
CBD 햄프오일 - 소아뇌전증에 대한 새로운 희망 CBD Oil Turning Out To Be A New Hope For Pediatric Epilepsy (0) | 2017.09.04 |
뇌전증 임상실험 - CBD 햄프오일 (0) | 2017.09.02 |
뇌전증 -CBD햄프오일 - 연구논문 (2) (0) | 2017.09.02 |
뇌전증-치료와 CBD 햄프오일 Epilepsy-Cure and CBD Hemp Oil (1) (0) | 2017.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