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개 이상의 과학 연구가 동의: 칸나비스가
암을 멸종시킨다
Over 100 Scientific Studies Agree: Cannabis Annihilates Cancer
약 85년
전까지 만해도 칸나비스 오일은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 치료를 위해
세계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병을 치료하는 칸나비스의 단계적 제거가 제약회사의 부상과 동시에 일어났던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Considering that up until about 85 years ago, cannabis oil was used around the
world to treat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cancer,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phasing out of cannabis to treat illness coincided with the ris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의학 마리화나 운동가 Rick Simpson은 다른 사람들이 칸나비스로
치료할 수 있도록 십자군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는 칸나비스를 지구상에서 가장 의학적으로 활동적인 식물로
간주하고 이 기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했습니다.
완전히 무료였습니다.
그는 이제 '불치병' 으로부터 치유된 사람들로부터
칸나비스가 암을 멸종 시킨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수천 건의 증언을
가지고 있습니다.
Rick Simpson, a medical marijuana activist, is on a crusade to help others
heal. He regards cannabis as the most medicinally active plant on the face
of the earth, and shared this apparent miracle with others — completely
free of charge. He now has thousands of testimonials from those who were
healed from ‘incurable’ disease to back up his claims ~ that cannabis
annihilates cancer.
아직까지 칸나비스의 암 치료효과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칸나비스 식물의 놀라운 치유력이 많은 연구로 잘 문서화되어 있습니다.
For the naysayers out there who are still not convinc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cannabis for curing cancer, the astounding healing attributes of the plant
are well documented by a wealth of peer-reviewed studies.
현대의학으로 뒷받침되는 전통적 의료 식물
Traditional medicinal plant backed by modern medicine
칸나비노이드오일 전문
유방암 Breast cancer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연구는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사용과 유방암 종양 공격성의 연속적 하향 조절 간의 관계를 탐구했습니다.
연구자들은 CBD가 생체 내(in vivo)에서 전이성 유방암 세포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최초의 비독성 작용제라고 밝혔습니다.
A study in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cannabidiol (CBD) and the subsequent down regulation of
breast cancer tumor aggressiveness. The researchers concluded that CBD
represents the first nontoxic agent to decrease the aggressiveness of metastic
breast cancer cells in vivo.
"유방암 세포 증식, 침입 및 전이의 감소에 대한 CBD 효과를 매개하는 경로"와 "칸나비노이드: 유방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희망인가?" 등 몇 가지 추가 연구가 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합니다.
Several additional studies support these findings, including “Pathways mediating the
effects of cannabidiol on the reduction of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and “Cannabinoids: a new hope
for breast cancer therapy?”
또한 PLoS One 저널은 칸나비노이드가 특정 수용체를 억제함으로써 유방암의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증거를 보고합니다.
Furthermore, the journal PLoS One reports
further evidence of how cannabinoids modulate breast cancer tumor growth and
metastasis by inhibiting specific receptors.
결장암 Colon cancer
Pharmacological
Research의 발표에 따르면:
"상피(epithelial) 세포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칸나비노이드는 항증식성(antiproliferative), 항전이성 (antimetastatic) 및
세포사멸(apoptotic) 효과는 물론 사이토카인(cytokine) 방출을 감소시키고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체 내에서 칸나비노이드는 CB (1) 및/또는 CB (2) 수용체의
직접 또는 간접적 활성화를 통해 잘 확립된 장 염증 및 결장암 모델에서 보호 효과를 발휘합니다."
As published in Pharmacological Research:
“Studies on epithelial cells have shown that cannabinoids exert
antiproliferative, antimetastatic and apoptotic effects as well as reducing
cytokine release and promoting wound healing. In vivo, cannabinoids – via
direct or indirect activation of CB(1) and/or CB(2) receptors – exert protective
effects in well-established models of intestinal inflammation and colon
cancer.”
연구진은 칸나비노이드 투여가 "장 염증 및 결장암을 막는 유망한 전략일 수 있다고
결론 지었습니다."
더욱이, 스칸디나비아 소화기 저널(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연구에 따르면 결장암 세포주는 칸나비노이드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았습니다.
The team conclud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cannabinoids “may be a promising
strategy to counteract intestinal inflammation and colon cancer.”
Moreover, research in the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established that colon cancer cell lines were
strongly affected by cannabinoids.
백혈병 Leukemia
저널 Blood에 따르면 칸나비스는 백혈병 세포주에서 세포독성(cytotoxicity)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는 1 x IC(50) (저해 농도 50%) 농도에서 약물 노출 후 6시간 내 임에도 불구하고, THC가 세포사멸의 강력한 유도제라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말초 혈액 단핵구는 물론 백혈병 세포주(CEM, HEL-92,
HL60)에도 나타났습니다. "
Cannabis was shown to induce cytotoxicity in leukemia cell lines, according the
the journal Blood:
“We have shown that THC is a potent inducer of apoptosis, even at
1 x 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50%) concentrations and as early as 6
hours after exposure to the drug. These effects were seen in leukemic cell
lines (CEM, HEL-92, and HL60) as well as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칸나비스가 단순히 다른 화학요법 약물을 돕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 시험관내에서 암 세포사멸을 담당하는 활성 화합물 THC의 독립적 결과였습니다.
It also did not appear that the cannabis was simply aiding other chemo drugs —
it was independently bringing about results with the active compound THC
responsible for cancer cell death in vitro.
마찬가지로 분자약리저널(Molecular Pharmacology Journal) 연구에 따르면 비 정신자극성 CBD가 백혈병 세포에서 세포사멸(apoptosis)을 극적으로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번 연구의 결과, CB2를 통해 작용하고 Nox4와 p22(phox) 발현을 조절하는 CBD가 백혈병에 대한 새롭고 고도의 선택적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Likewise, a study in the Molecular Pharmacology
Journal found that non psychoactive cannabidiol dramatically
induced apoptosis (cell death) in leukemia cells. “Togeth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veal that cannabidiol, acting through CB2 and regulation of Nox4
and p22(phox) expression, may be a novel and highly selective treatment for
leukemia.”
두 건의 추가 연구 "p38 MAPK는 CB2 수용체-유도 인간 백혈병 세포의 세포사멸에 관여합니다" 와 "감마선-조사는, 배양된 HL-60 골수강백성 백혈병 세포에서 비-정신자극성 칸나비노이드인 CBD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을 강화시킵니다"는 백혈병 세포사멸을 촉진시키는 칸나비스의 효과를 증명해 보였습니다.
Two additional studies, “p38 MAPK is involved in CB2 receptor-induced apoptosis of human leukemia
cells” and “Gamma-irradiation enhances apoptosis induced by cannabidiol, a
non-psychotropic cannabinoid, in cultured HL-60 myeloblastic leukemia cells“,
also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annabis in promoting leukemia cell
death.
면역 Immunity
논문 Prostaglandins, Leukotrienes 및 Essential Fatty
Acids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은 암 진단 결과를 개선하는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 연구팀은 이 논문에서 검토한 실험적 증거가 면역 질환과 암에서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의 치료 잠재력을 밑받침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칸나비노이드와 면역체계에 대한 연구는 cannabimimetic agent가 자연 살해 세포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므로 종양 성장 억제와 세포사멸의 유도로 치료하는데 유용함을 확인시켜 줍니다.
따라서 칸나비스는 "면역 조절에 있어 미묘하지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역할은 결국 인간 질병의 관리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라고 증명하고 있습니다.
Research published in the paper Prostaglandins,
Leukotri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 found that
cannabinoid compounds play a vital role in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to
improve the outcome of a cancer diagnosis. In short, the team believes “[t]he
experimental evidence reviewed in this article argues in favor of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hese compounds in immune disorders and cancer.”
Moreover, the study Cannabinoids and the immune system confirms that cannabimimetic
agents have substantial effects on natural killer cells, thereby providing
therapeutic usefulness in reducing tumor growth and the induction of apoptosis.
Therefore, cannabis demonstrates a “subtle but signific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immunity and that this role can eventually be exploited in the
management of human disease.”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자궁경부암 세포는 칸나비스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Gynecologic Oncology에 발표된 연구팀은 칸나비스 화합물이 자궁경부암(CxCa) 세포주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Uterine cervical cancer cell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annabis as well.
Published in Gynecologic Oncology, the research team discovered that
the compound induced apoptosis in cervical carcinoma (CxCa) cell lines.
흑색종 Melanoma
피부암의 가장 치명적 형태인 흑색종은 예방과 조기 발견을 넘어서는 치료 방법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이에 따라, 흑색종 치료를 위한 새로운 타겟인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에 대한 연구 결과가 특히 중요합니다.
동물 실험에서 칸나비노이드는 흑색종 세포의 성장, 증식 및 전이를 줄이면서 암 세포사멸을 조장했습니다.
The most deadly form of skin cancer, melanoma has relatively few options of
treatment beyond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With this in min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nabinoid receptors as novel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melanoma are
of particular note. In animal tests, cannabinoids encouraged cancer cell death,
while decreasing growth,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melanoma cells.
비 흑색종 피부암도 칸나비노이드에 잘 반응합니다.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연구에 따르면:
"[칸나비노이드]의 국지 투여는 표피 종양 세포를 누드 쥐에 접종하여 생성된 악성 종양의 상당한 성장 억제를 유도했습니다.
칸나비노이드로 치료한 종양은 증가된 세포사멸 세포 수를 보였습니다.
이것은 변형된 혈관 형태 및 전 혈관 형성 인자(VEGF, 태반 성장 인자 및 안지오포이에틴 2)의 발현 감소에 의해 결정된 종양 혈관 형성의 손상을 동반 하였습니다.
이들 결과는 피부 종양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지원합니다. "
Non melanoma skin cancers also respond well to cannabinoids. According to
research in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Local administration of [cannabinoids] induced a considerable growth
inhibition of malignant tumors generated by inoculation of epidermal tumor
cells into nude mice. Cannabinoid-treated tumors showed an increased number of
apoptotic cells. This was accompanied by impairment of tumor vascularization,
as determined by altered blood vessel morphology and decreased expression of
proangiogenic factors (VEGF, placental growth factor, and angiopoietin 2). …
These results support a new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skin
tumors.”
이것은 부작용없이 암을 근절시키는 데 있어 칸나비스의 효과를 입증하는 몇 가지 예입니다.
또한 다음 다큐멘터리는 암, 에이즈, 크론병 및 기타 심각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칸나비스의 역사와 현대적 용도를 탐구합니다.
These are just a few examples — among hundreds — that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cannabis in eradicating cancer without adverse side-effects.
Additionally, the following documentary explores the history and modern uses of
cannabis to heal se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AIDS, Crohn’s disease &
more:
의료 칸나비스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의료 칸나비스의 영향: 칸나비스 다큐멘터리
Medical Cannabis and Its Impact on Human Health: a Cannabis Documentary
국립보건원의 과학 연구
Scientific Studie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암 치료를 위한 칸나비스의 효과와 관련하여 여전히 의문이 생기면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100건 이상의 과학 연구를 살펴보십시오.
If you’re still in doubt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annabis for healing
cancer, have a look at these 100+ scientific studie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칸나비스가 암세포를 죽입니다
Cannabis kills tumor cells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576089
http://www.ncbi.nlm.nih.gov/pubmed/20090845
http://www.ncbi.nlm.nih.gov/pubmed/616322
http://www.ncbi.nlm.nih.gov/pubmed/14640910
http://www.ncbi.nlm.nih.gov/pubmed/19480992
http://www.ncbi.nlm.nih.gov/pubmed/15275820
http://www.ncbi.nlm.nih.gov/pubmed/15638794
http://www.ncbi.nlm.nih.gov/pubmed/16818650
http://www.ncbi.nlm.nih.gov/pubmed/17952650
http://www.ncbi.nlm.nih.gov/pubmed/20307616
http://www.ncbi.nlm.nih.gov/pubmed/16616335
http://www.ncbi.nlm.nih.gov/pubmed/16624285
http://www.ncbi.nlm.nih.gov/pubmed/10700234
http://www.ncbi.nlm.nih.gov/pubmed/17675107
http://www.ncbi.nlm.nih.gov/pubmed/14617682
http://www.ncbi.nlm.nih.gov/pubmed/17342320
http://www.ncbi.nlm.nih.gov/pubmed/16893424
http://www.ncbi.nlm.nih.gov/pubmed/150263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