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in Res. 2007 Feb 23;1134(1):162-70. Epub 2006 Dec 28.
파킨슨병 쥐 모델에서 칸나비노이드의 신경보호 효능 평가: 항산화제 및 칸나비노이드 수용체-독립적 특성의 중요성
Evaluation of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cannabinoids in a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importance of antioxidant and cannabinoid receptor-independent properties.
García-Arencibia M1, González S, de Lago E, Ramos JA, Mechoulam R, Fernández-Ruiz J.
초록 Abstract
우리는 최근 두 식물-추출 칸나비노이드, Delta9- tetrahydrocannabinol(THC)와 cannabidiol (CBD)이 항산화성 (antioxidant properties) 때문에 파킨슨병(PD)의 동물 모델에서 신경보호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We have recently demonstrated that two plant-derived cannabinoids, Delta9-tetrahydrocannabinol and cannabidiol (CBD), are neuroprotective in an animal model of Parkinson's disease (PD), presumably because of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이 문제를 더 연구하기 위해, 우리는 6-hydroxydopamine의 국부적 적용으로 야기된 흑색 선조체 도파민성 신경(nigrostriatal dopaminergic neurons)의 일측성 병변(unilateral lesions)을 가진 쥐에서, 칸나비노이드 신호체계의 여러 요소에 대해 보다 많은 선택성을 갖는, 일련의 칸나비노이드-기반 화합물의 신경보호 효과를 검토하였습니다.
To further explore this issue, we examin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a series of cannabinoid-based compounds, with more selectivity for different elements of the cannabinoid signalling system, in rats with unilateral lesions of nigrostriatal dopaminergic neurons caused by local application of 6-hydroxydopamine.
CB1 수용체 작용제 아라키도닐-2-클로로에틸아미드(ACEA), CB2 수용체 작용제 HU-308, 비-선택적 작용제 WIN55,212-2 및 체내칸나비노이드 불활성화 억제제 AM404 및 UCM707를 사용하였는데, 이들 모두를 투여했습니다. i.p.
We used the CB1 receptor agonist arachidonyl-2-chloroethylamide (ACEA), the CB2 receptor agonist HU-308, the non-selective agonist WIN55,212-2, and the inhibitors of the endocannabinoid inactivation AM404 and UCM707, all of them administered i.p.
ACEA 또는 WIN55,212-2의 매일 투여는 병변에서 6-hydroxydopamine에 의해 유발된 도파민(DA) 고갈을 회복시키지 못했지만, HU-308은 CB1 수용체가 아닌 CB2 수용체의 가능한 관련을 뒷받침하는 작은 회복을 나타냈습니다.
Daily administration of ACEA or WIN55,212-2 did not reverse 6-hydroxydopamine-induced dopamine (DA) depletion in the lesioned side, whereas HU-308 produced a small recovery that supports a possible involvement of CB2 but not CB1 receptors.
AM404는 6-hydroxydopamine에 의해 유발된 DA 결핍 및 병변 에서의 티로신 히드록실라자(tyrosine hydroxylase) 결핍의 현저한 회복을 나타냈습니다.
AM404 produced a marked recovery of 6-hydroxydopamine-induced DA depletion and tyrosine hydroxylase deficit in the lesioned side.
이것은 아마도 AM404의 항산화성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는데, 항산화 특성이 없는 다른 수송체 억제제인 UCM707이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AM404의 체내칸나비노이드 수송체 차단 능력보다는, AM404는 그 구조 상 페놀계(phenolic group)의 존재로부터 유래됩니다.
Possibly, this is caused by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M404, which are derived from the presence of a phenolic group in its structure, rather than by the capability of AM404 to block the endocannabinoid transporter, because UCM707, another transporter inhibitor devoid of antioxidant properties, did not produce the same effect.
칸나비노이드오일 전문
이러한 효과는 병변이 없는 반대쪽 구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None of these effects were observed in non-lesioned contralateral structures.
PD의 쥐 모델에서 CBD가 신경보호를 제공하는 효과에 대한 타이밍을 조사했습니다.
We also examined the timing for the effect of CBD to provide neuroprotection in this rat model of PD.
예상대로 6-hydroxydopamine에 의해 유발된 DA 결핍에 의한 병변에 즉시 CBD를 투여한 경우 즉시 회복될 수 있음을 발견했지만, 1주일 후에 CBD를 시작했을 때는 실패했습니다.
We found that CBD, as expected, was able to recover 6-hydroxydopamine-induced DA depletion when it was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 the lesion, but it failed to do that when the treatment started 1 week later.
또한, CBD의 효과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내인성 방어의 주요 효소인 Cu, Zn-superoxide dismutase에 대한 mRNA 수준의 상향 조절을 의미합니다.
In addition, the effect of CBD implied an upregulation of mRNA levels for Cu,Zn-superoxide dismutase, a key enzyme in endogenous defenses against oxidative stress.
요약하면, 결과는 항산화 칸나비노이드 수용체-독립적 특성을 갖는 이들 칸나비노이드가, PD에서 발생하는 흑색 선조체 도파민성 뉴런의 진행성 퇴행에 대한 신경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In summar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ose cannabinoids having antioxidant cannabinoid receptor-independent properties provide neuroprotection against the progressive degeneration of nigrostriatal dopaminergic neurons occurring in PD.
또한, CB2 (CB1은 아님) 수용체 또는 다른 추가 메커니즘의 활성화는 이 질병에서 칸나비노이드의 잠재력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CB2 (but not CB1) receptors, or other additional mechanisms, might also contribute to some extent to the potential of cannabinoids in this diseas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