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항암 칸나비노이드오일 CBD

by 신의 선물 CBD 2018. 2. 16.
728x90
반응형

잠재적 항암제 Cannabidiol     Cannabidiol as potential anticancer drug (2)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79246/

 

치료와 칸나비노이드  Cannabinoids in the treatment of cancer

 

CBD 신경교종 CBD and Glioma

 

CBD 또한 높은 형태학적(morphological) 유전적(genetic) 이질성(heterogeneity) 특징이며, 증식률(proliferative rate) 적극적 침습성(aggressive invasiveness) 방사선 화학요법에 반응이 없는, 가장 파괴적 종양 하나로 간주되는, 신경교(glial) 근원으로 하는 종양인 신경교종(gliomas)에서 -종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Jacobsson 등의 독창적 논문이 C6 신경교종 세포 증식에 ​​대한 CBD 혈청(serum)-의존적 영향을 증명한 , 2004 Massi 등은 CBD 세포사멸(apoptosis) 유도를 통해 시험관내에서 U87-MG U373 인간 신경교종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 했습니다.
흥미롭게도 CBD -형질전환성 1 신경교 세포(non-transformed primary glial cells) 생존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면역결핍(immune-deficient) 쥐에서 종양 이종이식(xenografts) 생성되었을 , CBD 사용한 종양내(intratumoural) 치료는 생체 내에서 종양 성장을 현저히 감소시켰습니다.

CBD -증식(anti-proliferative) 효과는 칸나비노이드 바닐로이드 수용체 독립적이었습니다.
CB2
수용체 반작용제 SR144528 CBD 효과를 감소시키기는 했지만, 약하고 과도적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논문은 CBD -종양 효과가, ROS 초기 생성 증가, 세포내 글루타티온의 고갈, 증가된 GSH-관련 효소 활성화를 통하여, 산화스트레스 유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최초로 증명하였습니다.
따라서 CBD -증식효과는 -산화제인 토코페롤에 의해 역전되었습니다.
중요하게, CBD -형질전환성 1 신경교종 세포에서 ROS 생성을 유도하지 않았습니다.

 

신경교종 세포사멸 관여된 세포 이벤트 , CBD 시토크롬 C 시간-의존적 방출과 caspase-8, -9, -3 활성화했으며, 내인성 외인성 세포자멸 경로(intrinsic and extrinsic apoptotic pathways) 모두의 관여를 제시했습니다.
나중에 Marcu 등이 9-THC보다 강력한 방법으로 다발성 교모세포종 세포주(multiple glioblastoma cell lines) 성장을 억제하는 CBD 효능을 확인하였습니다.
흥미롭게도 9-THC CBD 병용 치료는 CBD 교모세포종(glioblastoma) 세포 성장에 대한 9-THC 억제 효과는 증가시키나 침습성(invasiveness) 증가시키지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Torres 등은 CBD 9-THC 병용 치료가, 자가소모(autophagy) 세포사멸(apoptosis) 촉진시키고 caspase-3 활성화를 유발하여, 인간 신경교종세포의 생존력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더욱이, CBD 9-THC 최대 이하 용량 병용 투여는, 누드 쥐에서 U87-MG 세포-유래 종양 이종이식(xenografts) 성장을 개별 화합물 치료보다 크게 감소시켜, 정신자극성 9-THC 양을 줄일 있는 병용요법의 잠재적 사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칸나비노이드오일 전문

www.dopzamall.com/cannabinoid

 

병용요법의 시너지 효과는 caspases-3, -7 -9 지속적 활성화를 통한, 시험관내 세포주기 정지(cell cycle arrest), ROS 유도 세포사멸 의미하며,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kinase) ERK 특정 조절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화합물에서 개별적으로는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병용요법의 특권으로 간주됩니다.


Marcu
데이터와 달리, 우리의 최근 결과(Valenti 박사, Insubria 대학, Varese, pers. comm.), U87-MG 9-THC-내성 T98G 인간 신경교종 세포주에서, CBD 자체는 종양세포 증식에 ​​중요한 2가지 신호전달분자인 ERK PI3K/Akt 강력히 하향 조절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CBD, 세포 생존(cell survival), 운동성(motility) 종양 혈관신생(angiogenesis) 가장 중요한 자극 하나인, 저산소-유도(hypoxia- inducible)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 HIF-1α 억제합니다.
따라서 분자의 억제는 CBD -종양(anti-neoplastic) 활동에 대한 다중 분자 타겟의 일부로 나타납니다.

생체내에서 CBD 치료한 누드 쥐에서 절제한 신경교종 종양 조직에 대한 추가 생화학적 분석은, FAAH 현저한 자극 AEA 함량의 감소는 물론 5-LOX 활성 함량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습니다.
CBD
, 세포성장 외에, 세포증식 억제에 필요한 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 Boyden 챔버 검사에서 신경교종 세포 이동(glioma cell migration) 침습성(invasiveness) 감소시켰습니다.

CBD -이동효과(anti-migratory), 선택적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반작용제 또는 백일해 독소 (pertussis toxin) 사전 처리에 의해 반작용되지 않았고, 이는 고전적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또는 Gi/o 단백질-결합 수용체의 관여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CBD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신경아교 세포 증식과 침입을 막는 것으로 보입니다.

 

CBD 백혈병/림프종   CBD and Leukemia/Lymphoma


Gallily 등은 림프포성(lymphoblastic) 질환 치료에서 CBD 활용 가능성에 대한 번째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그들은 CBD 치료가 인간 급성 골수성 백혈병(human acute myeloid leukaemia) HL-60 세포주에서 caspase-3 활성화를 통해 세포사멸(apoptosis) 유도하는 반면, 정상인의 인간 단핵백혈구(human monocytes)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나중에, McKallip 등은, EL-4 림프종 세포주(lymphoma cell line) 인간 Jurkat Molt-4 백혈병 세포주(leukaemia cell lines) 사용하여, CBD 노출이 시험관 생체내에서의 세포사멸 (apoptosis) 유도 뿐만 아니라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를 상당한 CB2 수용체-매개 감소로 유도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Jurkat
세포에서, CBD 노출은 caspase-8, -9 -3 활성화, 폴리(ADPribose) 폴리머라제 (polymerase) 절단 전장(full-length) Bid 감소를 가져왔고, 내재적 외인성 세포사멸 경로 사이의 가능한 상호-대화를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CBD 노출되면 미토콘드리아 (membrane) 잠재력이 상실되고, 이어서 시토크롬 C 방출됩니다.
다른 종양 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CBD-유발 세포사멸 ROS 생성을 증가시킵니다.

마지막으로, CBD phospho-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수준을 감소시켰으며, 효과는 CB2-선택적 반작용제 또는 ROS 스캐빈저(scavenger) 치료함으로써 차단되었습니다.
또한, CBD 치료는 종양 부담을 현저하게 감소시켰고, EL-4 가진 쥐에서 세포사멸 종양의 수준을 증가시켰습니다.

CBD 수용체와 ROS 생산을 통해 작용하는 CBD, 백혈병에 대한 새로운 고도의 선택적 치료법 있습니다.
또한, 이전의 증거에 따르면 인간 백혈병과 림프종은 CB2 수용체의 수준이 다른 종양 세포주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아서, 면역 (immune origin) 종양이 CBD CB2-매개 효과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