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내칸나비노이드 체계, 칸나비노이드, 통증
The Endocannabinoid System, Cannabinoids, and Pain
Guest Editor: Elon Eisenberg and Simon Vulfsons
Perry G. Fine, M.D.1,* and Mark J. Rosenfeld, M.S., Ph.D.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and License information ►
Disclaimer
This article has been cited by other articles in PMC.
초록 Abstract
체내칸나비노이드 체계(endocannabinoid system, ECS)는 통증 및 염증 조절 등 항상성(homeostatic) 및 생리(physiologic) 기능의 숙주(host)에 관여합니다.
The endocannabinoid system is involved in a host of homeostatic and physiologic functions, including modulation of pain and inflammation.
중추신경계(주로 CB1 수용체)와 말초신경계(주로 CB2 수용체)의, 체내칸나비노이드 수용체에서, 리간드로서 작용하는, 현재 확인된 체내칸나비노이드의 특정 역할은 부분적으로만 밝혀졌지만, 이들은 통각(아픈 감각)에 영향을 발휘합니다.
The specific roles of currently identified endocannabinoids that act as ligands at endogenous cannabinoid receptors with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imarily but not exclusively CB1 receptors) and in the periphery (primarily but not exclusively CB2 receptors) are only partially elucidated, but they do exert an influence on nociception.
체외 식물-기반 칸나비노이드(phytocannabinoids) 및 화학적 관련 화합물(많은 식품에서 흔히 발견되는 테르펜 등)은 다양한 만성통증 에서 상당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Exogenous plant-based cannabinoids (phytocannabinoids) and chemically related compounds, like the terpenes, commonly found in many foods, have been found to exert significant analgesic effects in various chronic pain conditions.
현재, THC의 사용은 정신작용 효과 및 주요 전달경로(흡연) 그리고 규제 또는 법적 제약에 의해 제한됩니다.
Currently, the use of Δ9-tetrahydrocannabinol is limited by its psychoactive effects and predominant delivery route (smoking), as well as regulatory or legal constraints.
하지만 입을 통해 투여되는 다른 식물칸나비노이드, 특히 CBD와 β-caryophyllene은 높은 안전성과 낮은 부작용으로 인해 만성통증 치료의 유망한 후보자로 보입니다.
However, other phytocannabinoids in combination, especially cannabidiol and β-caryophyllene, delivered by the oral route appear to b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due to their high safety and low adverse effects profiles.
칸나비노이드 전문
이 리뷰는 ECS와 식물칸나비노이드를 만성통증 관리에서 잠재적으로 치료 역할과 연결시키는 기본 및 임상 과학의 기본 지식을 독자에게 제공합니다.
This review will provide the reader with the foundational basic and clinical science linking the endocannabinoid system and the phytocannabinoids with their potentially therapeutic role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pain.
Keywords:
Cannabinoids, cannabinoid receptors, chronic pain, endocannabinoid system, phytocannabinoids
통증은 불쾌하고,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보편적 인간 경험입니다; 통증은 또한 매우 복잡한 현상입니다.
Pain is an unpleasant, commonly occurring, and universal human experience; it is also a very complex phenomenon.
통증 경험과 그에 따른 정서 상태는, 유해 자극 강도 등 통증-유발 사건의 맥락적 상황(어떻게, 언제, 어디서, 왜)에 따라 달라집니다.
The experience of pain and the resultant emotional state depends as much or perhaps more on the contextual circumstances (how, when, where, and why) of the pain-inciting event as the intensity of the noxious stimulus.
그리고 겉으로 보기에 비슷한 통증-유발 사건이 사람마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문화들 사이에서 아주 다르게 경험(전달) 될 수 있습니다.
And a seemingly similar pain-producing event may be experienced (and communicated) quite differently from person to person, situation to situation, and among various cultures.
간단한 단일 유해 사건으로 인한 급성통증의 신경생리학이 가장 잘 이해됩니다.
The neurophysiology of acute pain due to a brief single noxious event is best understood.
말초 및 중추신경계의 통각 구성요소는, 잠재적 또는 실제 조직 손상에 대한 경고 신호를 내기 위해 고도로 정제되어 있습니다;
반사반응 및 의식반응은 대개 자기-보호에 적합합니다.
The nociceptive components of the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s are highly refined to signal warnings of potential or actual tissue damage; reflex and conscious responses are usually adaptive for self-protection.
다행히도, 대부분의 통증은 자체-제한적이며, 유해 자극의 중단이나 조직 치유 또는 신체 또는 감정 구조에 대한 발작 해소와 함께 신속하게 해결됩니다.
Fortunately, most occurrences of pain are self-limited, resolving quickly with discontinuation of the noxious stimulus or in tandem with tissue healing or resolution of the insult to somatic or visceral structures.
하지만 미해결 질병 (아픈 통증) 또는 신경계 내의 병태생리적 변화 (신경병증성 통증)에 의한 계속적 통각 자극으로 인해 끊임없이 계속되는 통증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But pain that continues relentlessly due to on-going nociceptive stimulation from unresolved disease (nociceptive pain) or pathophysiological changes within the nervous system (neuropathic pain) serves little purpose.
급성통증과 달리, 미해결 통증은 종종 부적응적인, 무의식적 및 의식적 반사 반응을 유발합니다(그림1).1
In contrast to acute pain, unresolved pain leads to subliminal and conscious reflex responses that are often maladaptive (Figure 1).1
미해결 통증은, 통증 환자의 건강, 사회적 상호작용, 직무수행 능력, 감정 상태 및 재정에 엄청난 부담을 줍니다.
It imparts a tremendous burden on the pain sufferer’s health, social intera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emotional state, and finances.
또한 만성통증은 사회에 직접적, 간접적 재정 피해를 초래합니다 (그림2).
In turn, chronic pain incurs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financial toll on society (Figure 2).
National Academy of Science의 Institute of Medicine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통증의 유행과 영향을 평가할 때, 통증 관련 의료 서비스와 생산성 저하로 통증 관련 비용이, 장기 요양보호 및 군대내 환자와 관련된 통증-관련 비용이 포함되는 경우, 매년 1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In evaluating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pain, a recent report by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stitute of Medicine concluded that pain-related medical services and loss of productivity cost the United States economy close to one trillion US dollars annually when pain-related costs associated with patients in long-term care and within the military are included.2
Figure 1
The Vicious Cycle of Pain.
Open in a separate window
Figure 2
'만성통증 CBD오일 칸나비노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D 통증 치료 효능 논문 (3) (0) | 2018.09.08 |
---|---|
CBD 통증 치료 효능 논문 (2) (0) | 2018.09.08 |
강직성 척추염과 CBD (1) | 2018.09.07 |
건강 증진을 위한 CBD 제품의 보급 확대 (0) | 2018.08.14 |
CBD와 통증완화 TRPV-1 바닐로이드 수용체 (0) | 2018.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