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성통증 CBD오일 칸나비노이드

CBD 통증 치료 효능 논문 (5)

by 신의 선물 CBD 2018. 9. 10.
728x90
반응형

아난다마이드, THC, CBD의 화학 구조

Chemical Structures of Anandamide, Δ9-Tetrahydrocannabinol, and Cannabidiol.


ECS는 염증 질환에 직면한 조직 치유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염증-매개 통증 예방과 치료와 임상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43
It appears that the endocannabinoid system is intimately involved in tissue healing in the face of inflammatory conditions, correlating clinically with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mediated pain.43



잠재적 통증-조절 작용과 관련하여, 아난다마이드는 바닐로이드 (TRPV1) 수용체에서 완전한 작용제임이 입증되었으며, 다른 임시 수용체 전위 (TRP) 수용체 타입에서 조절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44
With regard to potential pain-modulating activity, anandamide has been shown to be a full agonist at vanilloid (TRPV1) receptors and may play a modulating role at other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receptor types.44



아난다마이드는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G- 단백질 결합 억제를 통해 CB1 수용체에서 THC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효과에는 항통각, 저운동성 및 기억력 감소가 포함됩니다.
Anandamide is reported to produce effects similar to THC at CB1 receptors, via G-protein coupled inhibition of adenylate cyclase. These effects include antinociception, hypomotility, and reduced memory.45

 

하지만 항통각 특성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른 생리 효과와 관련하여,  아난다마이드와 다른 칸나비노이드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However, there appear to b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anandamide and other cannabinoids with respect to their antinociceptive properties and other physiological effects which vary as a function of route of administration.



아난다마이드가 동일한 부위에서 식물칸나비노이드와 동일한 항통각 작용을 일으키는 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It is not known whether anandamide acts at the same sites as phytocannabinoids to produce antinociception.



투여 후 THC와 아난다마이드의 행동 효과는, 뇌 및/또는 척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들 연구는 아난다마이드가 THC보다 효과가 적고 작용 지속 시간이 짧음을 시사합니다.
The behavioral effects of THC and anandamide after administration suggest that they act, at least in part, in the brain and/or spinal cord. These studies suggest that anandamide is less potent and has a shorter duration of action than THC.46

 

 

연구에 따르면, 칸나비노이드의 항통각 효과는 다른 행동 효과를 담당하는 것과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매개됩니다.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antinociceptive effects of cannabinoids are mediated through mechanisms distinct from those responsible for other behavioral effects.



예를 들어, THC는 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제와의 부가적 진통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For instance, THC has additive analgesic efficacy with kappa opioid receptor agonists.



이 효과는 카파 반작용에 의해 차단되지만, 오피오이드 수용체 반작용은 THC의 정신자극 효과를 변화시키지 않습니다.47
This effect is blocked by kappa antagonism, but opioid receptor antagonism does not alter the psychoactive effects of THC.47



체내 칸나비노이드와 그 작용체 부위(CB1, CB2와 다른 비-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포함)에 대한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통찰력은 이 약학 분야를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인 것으로 나타냅니다.
Investigations into the endogenous cannabinoids and their effector sites (including CB1 and CB2 along with other non-cannabinoid receptors) have exploded in recent years, and insights reveal this area of pharmacology to be highly complex and dynamic.

 




칸나비노이드 전문

www.dopza.com  

 

돕자몰

 

www.dopza.com

 



예를 들어, 체내 및 체외 칸나비노이드가, 오피오이드, 5HT3 및 N- 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증거가 있습니다.
For instance, there is mounting evidence that endogenous and exogenous cannabinoids exert some influence on opioid, 5HT3, and N-methyl-d-aspartate receptors.



이러한 상호작용은 항상성 통증 조절(항통각)에서 체내칸나비노이드의 역할을 암시하며, 통증 관리에서 체외 작용제로의 사용을 제시합니다.
These interactions suggest a role for endocannabinoids in homeostatic pain modulation (antinociception), thus their use as exogenous agents in pain management.48

 

최근, 칸나비노이드 작용제 아난다마이드와 N-palmitoyl- ethanolamine (PEA)가, CB1과 CB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말초 항통각을 유도하여, 체내 노르아드레날린 경로를 자극하고, 말초 아드레노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항통각을 유도한다는 증거를 Thiago 등이 제시했습니다.49
Most recently, Thiago et al.49 provided evidence that the cannabinoid agonists anandamide and N-palmitoyl-ethanolamine (PEA) induce peripheral antinociception activating CB1 and CB2 receptors, respectively, stimulating the endogenous noradrenergic pathway which in turn activates peripheral adreno receptors, inducing antinociception.

 

다른 연구들은 인간 지느러미 뿌리 신경절(DRG) 감각 뉴런 영역에서 기능적 CB2 수용체의 발현을 입증했습니다.
Othe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xpression of functional CB2 receptors in areas of human dorsal root ganglion (DRG) sensory neurons.



CB2 수용체 발현은 특히 통각 통합과 관련된 다른 뇌 영역은 물론 척수에서도 입증되었습니다.
CB2 receptor expression also has been demonstrated in the spinal cord as well as in other brain regions particularly relevant for nociceptive integration.50–52

 

이러한 발견은 CB2 작용제가 생성하는 진통 효과에 CB2 수용체가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se findings implicate CB2 receptors in the analgesic effects produced by CB2 agonists.53,54



말초 신경계 통증 조절에 ECS가 관여한다는 다른 증거로는, CB2 수용체 작용제가, 인간 각질세포에서 발현된 CB2 수용체의 자극에 반응하여, 베타-엔돌핀의 방출을 유발하여 무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있습니다.55
Other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the endocannabinoid system in peripherally mediated pain control includes the finding that CB2 receptor agonists can evoke analgesia by triggering the release of beta-endorphin in response to the stimulation of CB2 receptors expressed in human keratinocytes.55



다른 많은 연구들이, 다운스트림 제2 메신저 효과는 물론 주요 수용체 상호작용을 통하여, 칸나비노이드와 오피오이드 효과를 연관 시켰습니다.
임상 관점에서, 이것은 치료 시너지 효과를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56
Many other studies have linked cannabinoid and opioid effects through primary receptor interactivity as well as downstream second messenger effects. From a clinical standpoint, this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rapeutic synergy.56


 

항통각에 있어서 CB2 수용체의 역할은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입증되었습니다.
The role of CB2 receptors in antinociception has been demonstrated in inflammatory and neuropathic pain models.



설치류에서 carrageenan-유발 염증성 통증 관련 연구는, CB2-선택성 작용제에 의한 CB2 수용체의 활성화가, C-섬유 활성의 감소 및 넓은 동적 범위 (WDR) 뉴런이 관련된 wind-up을 통해, 등각 dorsal horn에서의 뉴런 활동을 억제한다는 것을 입증합니다.
Investigations involving carrageenan-induced inflammatory pain in rodents demonstrate that activation of CB2 receptors by CB2-selective agonists suppresses neuronal activity in the dorsal horn via reduction in C-fiber activity and wind-up involving wide dynamic range (WDR) neurons.57,58



통증 조절에서의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의 관련성은, 말초 CB2 수용체 단백질의 증가 또는 신경병증성 상태에서 염증 조직 및 말초 신경절에서 mRNA의 증가가 있다는 연구 결과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59-61
The involvement of cannabinoid receptors in modulating pain has been supported further by findings that there are increases in peripheral CB2 receptor protein or mRNA in inflamed tissues and in the dorsal root ganglion in neuropathic states.59–61



Colorectal 팽창으로 인한 내장 유발 통증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말초 CB1 수용체가 칸나비노이드의 위장관 내막 통증에 대한 진통 효과를 중재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62
Data from studies investigating viscerally induced pain due to colorectal distension indicate that peripheral CB1 receptors mediate the analgesic effects of cannabinoids on visceral pain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62



칸나비노이드는 통각의 체내 (항상성) 조절에 역할을 하며, 체외 칸나비노이드는 잠재적으로 다양한 통증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무통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63
It may now be concluded that cannabinoids play a role in endogenous (homeostatic) modulation of nociception, and that exogenous cannabinoids potentially offer some degree of analgesia in various pain states.63



이 기초를 토대로 진행 과정에서, 결론 부분은 인간의 임상 통증 완화에서 칸나비노이드의 역할을 탐구할 것입니다.
칸나비노이드를 "의자에서 침대"로부터의 통각과 연결시키는 연구 결과를 번역하는 데 상당한 의구심이 있었던 10년 전부터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64
With this foundation to build upon, the proceeding section will explore the role of cannabinoids in clinical pain relief in humans. Much has been learned since a decade ago when there was significant doubt about translating research findings linking cannabinoids to antinociception from “bench to bedside.”64



통증 환자들에게 중요한 치료적 진보를 이끌 수있는 체계적으로 건전한 연구가 지금은 있습니다.
There are now methodically sound studies that may lead to important therapeutic advances for people living with pain.

반응형

댓글